마음 건강 관련 정보/심리 칼럼 2

소중한 것과의 이별 - 애도가 중요하다. 애도 어떻게 하는걸까?

오은영 박사님의 프로그램을 공부하듯 잘 챙겨봅니다. 이번 주 송선미씨의 이야기를 보며 같이 마음 아파하고 또 우리 내담자들에게 적용할 부분이 어떤 것이 있을까 고민했어요. 사고 이후 여러 시간들을 보내며 단단해진 송선미씨. 이런 모습이 되기 까기 얼마나 많은 눈물과 아픔이 있었을지 마음이 참 많이 안쓰러웠습니다. 그 시간들을 보내며 이젠 딸에게 정의로운 나라를 물려주고 싶다는 다짐, 싱글맘들을 위로하는 메시지를 하게 됐네요. 모든 사람이 필연적으로 경험할 수밖에 없는 이별과 상실. 이러한 이별과 상실을 누구나 겪기 때문에 '남들 다 겪는 거야 그러니까 유별 떨지 마?'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이런 이별과 상실은 여러 혼란한 감정들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 감정을 잘 처리하는 것이 ..

‘자기이해’가 중요한 이유

권경인 교수님의 '엄마가 늘 여기 있을게'를 읽고 공감되는 부분이 있어서 글을 나눕니다:) 교수님 책에서 '경제적 자본'만큼이나 '심리적 자본'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심리적 자본'을 많이 가지고 있고 '나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은 여러 형태의 관계와 상호작용에서 힘과 영향력을 가지고, 나머지 자본(네트워크, 경제적 자본 등)을 생성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더 많은 돈을 벌듯 심리적 이해를 갖고 있는 사람은 더 많은 사람을 얻게 됩니다. 또한 성취를 향해 긍정적으로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그로 인해 동기부여가 됩니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 더욱더 힘들어지는 것이 대인관계입니다. 대인관계를 잘하기 위해서는 본인에 대해 아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 내가 누구인지 모르고 내가 어떤 ..

반응형